[와이뉴스] 예부터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에서 서울로 가는 길목으로 삼남의 물화(物貨)가 모이는 집산지였다. 이러한 지리적 요건으로 지난날 안성장은 ‘조선 시대 3대 향시(鄕市)’ 가운데 하나로 불리었다. 『중보문헌비고』*에는 읍내장이란 이름으로 2일, 7일 장이 개시됐다고 기록돼 있다. 1703년(숙종 29년) 『비변사등록』에 “안성 일로는 삼남의 요충지로 공장과 장사꾼들이 모여들고”라는 기록으로 당시에도 안성장이 번성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안성장은 서울보다 두 세 가지가 더 난다”, “안성 지역에는 이일, 칠일 안성장에 팔도물건이 널려 있다”는 옛말이 있을 정도로 갖가지 공예품과 객주들이 북적이며 성황을 이뤘다. 1794년 작성된 『부역실총(賦役實總)』 기록을 보면 안성장에서 걷은 장세가 720냥으로 경기도에서 가장 많았다. <영조실록>에는 안성장의 규모가 서울 이현시장이나 칠패시장보다 커 물화가 모이고 도적떼들도 모여든다는 기록이 전한다. 오늘날에도 안성시의 대표적인 재래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현대적인 편리함과 쾌적함, 전통시장의 정겨움과 멋스러움이 공존한다. 또 ‘7080 추억의 거리’를 조성해 작은 영화세트장 같은 분위기도
[와이뉴스] 이라지만 웬만해서는 단판으로 마무리하기 어렵다. 코인을 한 번 넣으면 '될 때까지' 다시 하고야 마는 것이다. 죠 반짝이고 깜찍하고 이쁜 것들이 자꾸만 말하는 것 같다. "돈 주세요, 돈 주세요!" 도파민에도 대가가 필요하다.
[와이뉴스] 로드킬(roadkill 동물 교통사고)은 길에서 동물이 운송수단에 의해 치여 죽는 현상으로 도로에 의해 고립된 동물 개체군이 감소해가는 대표적인 과정이라고 한다. 어감은 부드럽지만, 실상은 잔혹하다. 전 세계 150만 생물종 중에 오로지 인간만의 편의를 위해 인간만의 세상을 만들어가며 다른 동물의 '사고사'를 방관하는 건 아닐지. 그럼에도 일부 지자체에서 간간이 볼 수 있는 생태교는 이러한 우려를 잠시 불식시켜 준다. 평택시 비전로에 위치하는 배다리생태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노랑부리백로가 주변에서 목격됐다는 기록도 있다 전해진다. 또 작은 물줄기가 생태교 근방에 위치해 도심 속 산책길을 볼 수 있다. 생태교 중간에서는 새들이 지저귀고 이어진 생태공원에서는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들려온다.
[와이뉴스] 환경부 생태계 보전 협력금 사업으로 금개구리 서식처를 보호하기 위해 복원된 도심 속 내륙 습지다. 20,294㎡ 부지에 물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실개울을 조성했다. 생태적 수질정화시스템을 통해 오염원을 처리해 수질환경을 개선하고 건강한 생태계로 유도한다. 금개구리 포함 7종의 양서파충류가 서식하고 애기부들 등 식물 66종, 버들붕어 등 어류 6종, 쇠물닭 등 조류 27종 등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주변에 자생초 화원이 조성돼 있으며 다양한 생물의 소중함을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생태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자료 참조: 한국관광공사 대한민국구석구석, 광명시 등 ※ 촬영: 2024.09.04.
[와이뉴스] 김암덕(金巖德 바우덕이)은 1848년(헌종 14)-1870년(고종 7) 조선후기의 천재 예인이다. 15살에 사상 최초 여자로 남사당패 우두머리인 꼭두쇠가 되어 남사당패를 이끌었다. 남사당패는 규율이 엄격하여 우두머리를 '꼭두쇠'라 부르며 받들었다고 한다. 남사당패는 본디 조선의 창건과 함께 유교 중심 사회로 변하며 소속이 없어진 채 전국을 떠돌게 된, 고려의 사찰에 적을 두었던 예인들이었다. 남사당놀이는 주로 남녀차별과 양반의 부도덕성을 다뤘고 풍자를 통해 힘없는 백성의 마음을 달래주었다고 한다. 흥겨운 풍물놀이, 힘겨운 삶을 해학적으로 풀어낸 다양한 놀이로 많은 이에게 즐거움을 선사했으며 그 전통을 잘 보존해 와 2009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유산으로 선정됐다. 1848년 안성의 가난한 소작농의 딸로 태어나 어린 나이에 부모를 잃고 다섯 살 무렵인 1853년에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불당골에서 남사당패에 맡겨져 줄타기, 살판 등의 남사당 놀이를 익히게 된다. 15세 되던 해에 안성 남사당패의 꼭두쇠가 연로해 새 꼭두쇠를 선출할 때 바우덕이가 어린 나이와 여성임에도 만장일치로 선출됐다. 바우덕이가 이끄는 남사당패는 전국적으로 그 명성이 알려지게 됐으
[와이뉴스] 예부터 8개의 보물이 숨겨져 있다는 전설이 전해져 왔으나 언제인가 한 개의 보물 금닭(黃鷄)을 누군가 가져가 칠보산이란 이름이 됐다고 한다. 기존 화성군 매송면에 속해 있었으나 1987년 1월 1일 수원시로 편입됐다. 해발 238.8m 면적 350ha로 산능선이 완만하며 소나무 등 수림이 있다. 또 곳곳에 자연습지가 조성돼 있어 자연생태 학습장으로도 적당하여 시민들이 찾고 있으며 때때로 산악자전거 동호회 활동도 볼 수 있다. 1996년 5월부터 연중 개방하고 있다. 소나무, 참나무, 잣나무, 진달래, 철쭉 등이 있으며 솔잎 채취는 금지된다. 칠보산자유학교, 용화사, 광이재약수터, 개심사, 무학사, 칠보약수터, 헬기장 등이 있다. 팔각정자가진바위 전망대 등 세 개의 전망대와 체력단련시설, 편의시설, 등산로 목책 등의 시설물이 있다. 칠보산에는 아래와 같은 흥미로운 전설이 전한다. 산삼, 맷돌, 잣나무, 황금수탉, 호랑이, 절, 힘이 센 장사, 금 등의 보물 8개가 숨겨져 있어서 팔보산으로 불리었다. 사람들이 보물을 찾기 위해 몰려들었고 마을을 이루게 됐으나 보물을 찾을 수 없게 되자 점차 도적떼로 변해 갔다. 상인들은 그 소굴 중 하나인 비들치 고
[와이뉴스] 국내 최대 체험형 놀이목장 안성 팜랜드 소유*의 장소로 이국적이고 황홀한 풍경의 일출 명소로 꼽힌다. 목장과 더불어 오솔길, 미루나무, 초원 등이 목가적인 뷰를 자아낸다. 계절에 따라 청보리, 호밀, 옥수수 등의 작물과 너른 지평선이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 이미 인생사진 포토존으로 입소문이 자자해 동호회 및 개인 출사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입장료는 별도 없고 대체로 시간대에 구애받지 않고 들어갈 수는 있으나 상업적 이용 목적의 촬영은 제재를 받을 수 있다. * 빠담빠담 건물은 사유지임 - 자료 참조: 경기도, 안성시, 안성팜랜드 등 ※ 촬영: 2024.08.19.
[와이뉴스] 안성시 서운면 양촌리에서 제17회 안성맞춤포도축제가 9월 13-15일 진행된다. 포도주 만들기 체험, 포도 품평회, 버스킹 공연, 노래 자랑 등 다채롭게 꾸며졌다. 15일 오전 축제장 모습을 담아 봤다.
[와이뉴스] 1919년 3월31일과 4월5일 두 차례 만세시위가 일어났던 곳으로, 주변관광지로 제암리 3.1만세 운동순국기념관이 있다. 1928년부터 형성됐으며 2013년 발안만세시장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주로 채소, 과일, 한식, 분식, 생필품 등을 판매하고 있다. 향남읍 평리에 위치하며 915개 점포로 이뤄진 중대형시장이다. 기존에는 화성시의 특산물 및 농산품 등을 5일장 형태로 운영하여 판매했으나 현재는 상설시장의 형태를 띄고있다. 일제 강점기 발안 장터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은 발안만세시장의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가치를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발안만세시장 상인회 회장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시장 방문객 중 다문화 외국인이 찾는 비중은 평일에는 40% 정도, 주말과 휴일에는 80% 이상으로 화성시 내 인근 산업단지의 기업체에서 근무하는 다문화 노동자 및 그 가족들이 많이 찾고 있다. -자료 참조: 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전자대전, 경기도메모리 등 ※ 촬영: 2024.09.08.
[와이뉴스] 제10회 화성송산포도 축제가 9월 7-8일 양일간 열렸다. 주 개최지인 궁평항과 더불어 동탄호수공원, 향남2지구에서도 포도 판매와 소규모 문화공연이 진행됐다. 8일 궁평항 일대의 축제장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와이뉴스] 1923년 일본은 감화령(感化令)을 발표하고 1924년 10월 1일 함경남도 영흥에 조선총독부 직속 감화원(感化院)으로 영흥학교(永興學校)를 설치했다. 설립 목적은 8-18세 소년으로 불량 행위를 하거나, 불량 행위를 할 우려가 있는 자를 감화시킨다는 것이었다. 불량 행위에는 항일 독립운동도 포함됐다. 이후 계속되는 일제의 수탈로 몰락하는 농민이 점차 늘어나 도시 빈민으로 전락하게 되면서 일제에의 불만이 더욱 고조됐다. 또 거리에는 유리걸식하는 아이들의 숫자가 증가해 갔다. 일제는 1938년 10월 전라도 목포 고하도(古下島)에도 목포학원(木浦學園)이라는 감화원을 추가로 설치했다. 1942년 감화령을 더욱 강화시킨 조선소년령(朝鮮少年令)을 발표하면서 경기도 안산시 선감도에 선감학원(仙甘學園)이라는 감화원을 추가로 설치했다. 조선총독부는 선감도에 거주하던 주민 중 선감학원 운영에 필요한 보조 인원 15가구 70여 명만 남기고 거주하던 400여 명을 다른 곳으로 강제 이주시킨 후 그곳에 선감학원을 설치했다. 1942년 4월 200명의 소년을 처음 수용했다. 선감학원은 해방 이후 1946년 2월 1일 경기도로 관할 기관이 이관됐다. 1954년 새 건물
[와이뉴스] 인근 생태교통마을은 2013년 세계 최초로 차 없는 마을을 구현해 ‘생태교통 수원 2013’을 개최했다. 팔달문에서 화성행궁에 이르는 약 420m 거리를 이르며 수원의 옛 모습을 간직한 장소라 일컬어진다. 전통음식과 카페, 다양한 벽화, 아기자기한 소품으로 장식한 공방거리가 있다. 국내외 관광객들이 즐겨 방문하는 장소라 하며 역사 문화의 거리로 2020년 11월 수원시 음식문화거리로 지정됐다. 앞선 7월부터 무궁화 전시회가 열리기도 했으며 2023년 말 이곳 상인회는 수익금 일부를 이웃돕기 후원금으로 전달하기도 했다. 2024년 2월에는 제4회 외식업 선도지구 경진대회에서 장관상을 받았다. 남문 로데오 청소년문화공연장, 남창동 열린문화공간, 극장, 여민각, 팔달산, 수원천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 자료 참조: 경기관광공사, 수원시 등 ※ 촬영: 2024.08.10.
[와이뉴스] 가람백련 등 10여 종의 연, 수련 등 다양한 수생식물과 초화류* 단지로 조성됐다. 열대수련단지, 꽃단지, 수련단지, 소형다품종 연, 대구홍련, 초의홍련, 관곡지연, 가람백연 구역 등으로 이뤄진다. 내동마을은 높지않은 산들로 둘러쌓여 아담하고 포근한 느낌을 준다. 이로써 마을이름도 내동(內洞 안골)이 됐다. 마을 뒤로 문수봉과 칠봉산을 잇는 등산로가 있다. 앞으로 12만㎡에 이르는 경관단지와 연꽃단지가 자리한다. 논에 벼를 경작하던 농촌마을이었으나 현재는 꽃단지로서의 모습을 보인다. 논에서 경작되던 농작물이 연꽃으로 대체됐다. 8월 연꽃 개회 시기는 절정이다. 연꽃은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꽃을 피워 예부터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로 인식돼 왔다. 또 불교에서는 연꽃이 속세의 더러움에서 꽃을 피우나 그에 물들지 않는다 하여 청정함을 상징하며 극락세계를 나타낸다. 종자를 많이 맺어 민간에서는 다산 징표로도 삼았다.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이용되며 뿌리는 연근, 열매는 연밥이라 하며 식용한다. *초화류: 꽃이 피는 풀, 또는 그 풀에 핀 꽃 -자료 참조: 용인시청, 내동마을 연꽃단지 등 ※ 촬영: 202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