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뉴스] 교육부와 육아정책연구소는 3월 27일부터 28일까지, 윈덤그랜드호텔(부산)에서 ‘지역 기반형 유아교육·보육 혁신지원 사업 정책 워크숍’을 개최한다.
‘지역 기반형 유아교육·보육 혁신지원 사업’은 양질의 혁신적인 교육·돌봄 실현 및 공교육 강화를 위해 교육부가 교육청-지자체-대학 등과 협력하여 2024년부터 추진 중인 사업으로, 지역 공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유보통합 연계를 촉진하기 위해 도입됐다. 지난해 총 8개 지역을 선정하여 2026년까지 3년 동안 행·재정적으로 집중 지원한다.
지난해 1년차에는 8개 지역에서 교육청-지자체-대학간 협력체계 활성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 개발 및 돌봄 확대를 통하여 지역 특색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 올해 2년차에는 우수 혁신 모델들이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성과 관리를 추진한다.
성과평가(올해 말) 결과 우수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은 차년도 사업비를 추가 지원하며,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유아교육·보육 모델을 정착시키고 지역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고자 한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8개 지역 교육청-지자체-대학교 담당자들이 함께 지역의 사업계획과 아래와 같은 지역별 우수 사례를 공유하여 출산과 양육 친화적인 환경 조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① 지역에서도 양질의 특색있는 프로그램으로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요.
“부산광역시는 '그림책 기반 디지털 생태놀이', '소(통)·나(눔)·기(쁨) 인성 교육 공동체' 부모의 교육관과 자녀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고, 인천광역시는 유·보 이음교육 온라인 플랫폼 '인천아이이음', 읽걷쓰(읽기, 걷기, 쓰기) 기반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 경기도(용인특례시·의정부시)는 디지털 기반 유아 환경교육, 긍정적 사회·정서 지원 등을 지원하는 G-ID.R.E.A.M(경기아이:드림)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고, 전북 익산시는 지역 스마트 식품산업 연계 체험 프로그램 운영 및 먹거리 연계 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 유아 생존수영 및 승마 체험을 운영하고 있다.”
② 유보통합을 선도하여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게 합니다.
“대구광역시(북구청·달성군청)는 지역 축제와 연계한 체험 부스 등으로 육아의 노하우를 전수하며, 영유아 숲 체험 프로그램, 웰니스 기반 방과후 프로그램을 소규모·야간연장 어린이집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울산광역시는 유보통합 12시간 시범 운영 모델인 '돌봄플러스' 64개 원과 울산의 자연환경 및 지역의 공원을 활용한 생태전환교육, '찾아가는 울산 이야기 한마당' 등 방과후 프로그램으로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다.”
③ 모든 영유아를 따뜻하게 함께 돌봅니다.
“충청북도는 발달 지연 유아 조기 발견 및 개입을 위한 '아이 성장 책임유치원'을 지정하고 '아이성장 골든타임'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전남 영암군은 이주배경 유아 지원을 위한 '기(氣)찬 행복 그림책 언어 놀이, 어울림 놀이', 소규모 유치원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교육부는 지역기반 협력체계 확대를 위하여 누리과정 포털 누리집 내 별도 온라인 플랫폼(‘지역기반 유보혁신’)을 구축하여 지역별 사업 계획, 참여기관, 사업성과·사례를 공유하여 지속적인 기관 간 협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대림 영유아지원관은 “지역에서 양질의 교육·보육 제공을 위한 특색있는 교육·보육 혁신 모델이 발굴·전파되고 있다.”라고 말하며, “지역의 영유아 교육·보육 혁신을 통해 지역 정주 여건을 개선함으로써 지역소멸 및 저출생 위기를 극복하고, 향후 지역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유보통합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