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뉴스]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무덤으로, 흔히 고인돌로 불린다. 수원시립도서관 동쪽 구릉에 모두 화강암으로 이뤄진 4기의 바둑판식 고인돌이 위치하고 있다. 1·2호 고인돌은 7미터 거리를 두고 비교적 낮은 구릉의 평지에 있다. 이곳에서 팔달산 정상 화성 쪽을 향해 50미터 정도 올라가면 왼편으로 3·4호 고인돌이 있다. 이곳에 분포된 4기의 지석묘는 대체로 구릉의 높은 쪽인 북쪽에는 지석을 받치지 않고 경사면을 그대로 이용했으며 상석은 크기가 작고 두께가 두꺼운 편이다. 구조적으로 볼 때, 지하에 매장주체부를 구축하고 그 위에 흙을 덮은 뒤, 지석을 배치하고 그 위에 상석을 얹은 기반식지석묘(碁盤式支石墓)일 가능성이 있다. 정확한 사항은 정식 발굴조사 후에야 확인 가능하다고. 이들 지석묘군은 경기도에서 찾아보기 힘든 것으로 한강 유역의 선사문화를 밝히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규모 4기 1호 덮개돌 134×108×55cm 2호 덮개돌 180×165×45cm, 받침돌 20×110cm 3호 석재(받침돌추정) 118×216cm 4호 덮개돌 90×96×50cm -자료참조: 경기문화재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기문화재단 등 ※ 촬영: 2023.12.0
[와이뉴스] 박두진(朴斗鎭 1916-1998)은 1916년 3월 10일 안성에서 태어났다. 일제 강점기부터 60년 동안 20여 권의 시집을 펴내며 1천여 편의 시와 400편이 넘는 산문을 발표했다. 박두진은 안성 보개면 동신리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안성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4년 안성을 떠날 때까지 박두진이 안성에서 살던 20여 년은 박두진의 문학적 상상력과 정서를 길러주었다고 평가된다. 박두진문학관은 안성 출신 박두진 시인의 삶과 문학적 발자취를 조명하고, 문학을 매개로 시민들과 소통, 공감하는 문화공간을 조성하고자 건립됐으며 2018년 11월 16일에 개관했다. 안성맞춤랜드 북쪽 자락 10,512㎡ 부지에 옥상을 포함한 지상 3개 층 총면적 999.45㎡ 규모로 건립됐다. 박두진 유족이 기증한 2천여 점의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건립됐다. 상설 전시실, 기획전시실, 북카페, 수장고 등으로 구성된다. -자료참조: 한국문학관협회, 문화관광해설사 통합예약 등 ※ 촬영: 2023.09.18.-10.08.
[와이뉴스] 국가등록문화재다. 지정일은 2018년 3월 9일이며 (재)수원교구유지재단이 관리한다. 공소란 주임 신부가 상주하지 않는, 본당보다 작은 신자들의 모임 장소다. 고초골 공소는 천주교 수원 교구 내 한옥 공소 중 가장 오래됐다. 고초골은 1820년경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산중에 모여들면서 생긴 교우촌이다. 고종3년 병인박해(1866)로 이곳에 숨어 살던 천주교인들이 붙잡혀 순교했고 마을은 불타 없어졌다. 당시 고초골 교우촌에 살던 교우 세대 수와 총인원이 알려지지는 않지만 한 마을을 형성했다는 점과 예전 가족 수를 고려하면, 고초골의 순교자 수가 수십 명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해진다. 고종 23년 조선과 프랑스의 조불수호통상조약(1886)이 체결돼 조선에 선교의 자유가 허락되자 이곳에 다시 천주교인들이 모여들기 시작했고 기도 및 집회 장소로 사용할 공소를 마련했다. 현재의 공소 건물은 1891년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인근 문촌리 안기선 전 천안군수 자택에서 누에 치는 데 쓰던 건물을 옮겨서 지었다고 한다. 신자 수가 증가한 1910년대에 지금과 같은 규모로 증축한 것으로 추정된다. 공소 건물은 미사 장소로 이용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피정(避
[와이뉴스] 박문수는 조선 후기 영남별견어사, 호조판서, 병조판서, 형조판서, 경기도관찰사 임명, 평안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함경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1691년 9월 8일 외가인 경기도 평택시 진위현에서 박항한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친가 고령 박씨, 외가 경주 이씨, 처가 청풍 김씨다. 부친 박항한은 박문수가 여덟 살 되던 해 세상을 떠났고 조부 박선과 백부 박태한은 이 두 해 전에 세상을 떠나 박문수는 자연스레 외가 쪽의 지원에 의해 성장한다. 박문수가 유일하게 암행을 한 것은 1727년 영남별견어사 때로, 박문수가 암행어사 직을 수행한 기간은 실제 1년도 채 되지 못한다고 한다. 그는 공주 향리 생활로 백성들 어려움을 잘 알아 인사, 세정, 군정, 형정 등에 여러 개선안을 냈다. 왕족들이 미개간지를 선점해 수조권을 행사하는 절수(折收) 개혁도 과감히 진언했다. 별견어사 업무지침은 “수시로 암행하여 민간의 어려움을 탐문하되, 불법 수령은 파직시켜 각 읍을 숙연하게 하라”였고, 이에 따라 박문수는 철저한 염찰 업무를 수행해 수령 41명을 조사해 13명의 파직을 이끌었다고. 박문수가 극심한 흉년에 시다리는 마을에 어사로 내려간 적이 있었는데,…
[와이뉴스] 1970년 실향민 김해근(법명 해곡 삼장법사)이 부처의 공덕으로 민족 화합을 이루기 위해 세운 호국 사찰이다. 140여 개 국가와 교류하고 있으며, 대한불교 열반종의 총본산으로 대한불교열반종 총무원이 와우정사 내에 있고, 전국 70여 개의 말사가 있다고. 세계만불전 건립을 위해 각국에서 불상을 수집하고 있으며 인도, 스리랑카, 미얀마 등지에서 가져온 석가모니의 전신사리와 불교 초기 팔리어 경전과 산스크리트어 경전이 봉안돼 있다. 또 인도에서 가져온 향나무로 만든 누워 있는 길이 12m, 높이 3m의 열반상(와불상: 누워 있는 불상)이 봉안돼 있어 와불전이라고도 한다. 이는 세계 최대의 나무부처 상으로 기네스북에 올라 있다고 전한다. -자료참조: 디지털용인문화대전, 두산백과 ※ 촬영: 2023.11.05.
[와이뉴스] 경기도기념물 제147호다. 지정일은 1994년 4월 20일이다. 1792년 정조의 칙명으로 창건된 공자의 사당으로, 고종의 서원철폐(1871)로 없어졌다가 1900년에 다시 세워졌다. 조선 전기 문신인 공서린(孔瑞麟 1483-1541)이 후학들을 가르치기 위해 세운 곳이라고도 전해진다. 1792년 당시 공자가 살던 노나라 마을 이름을 따라 ‘궐리’로 바꾸고 사당을 세우고 ‘궐리사’라 했다고. 크게 공자의 영정이 있는 건물 성묘(聖廟), 공자의 석상이 있는 성상전(聖像殿) 구역으로 구분된다. 성묘 구역은 공자의 영정을 모신 성묘와 제사에 필요한 물품 보관소인 제기고로 구성된다. 성상전 구역은 공자의 석조상을 중심으로 성인들의 석조상들이 세워져 있다. 이외 공자의 사상을 가르치기 위한 양현재(養賢齋), 공자문화전시관, 행단(杏壇), 홍살문, 하마비, 공적비 등이 있다. 또 공자의 생애를 그림으로 판각한 국내에 하나밖에 없는 성적도가 보관돼 있다고 전한다. -자료참조: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오산문화원 ※ 촬영: 2023.09.25.
[와이뉴스] 흰뺨검둥오리, 뻐꾸기, 왜가리, 곤줄박이, 멧새, 꾀꼬리, 동고비, 큰기러기 등의 조류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인 수원청개구리와 금개구리 등의 양서류 및 어류 등이 서식한다. 걷기 코스는 크게 A와 B로 나누어져 있다. A코스는 1.5km B코스는 2.5km이며, 각 25-40분 정도 소요된다고. 건강 체크가 가능한 건강 헬스존에는 관련 장비들이 마련돼 혈압, 체성분, 건강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공원 내 부유분수는 총 9기로, 고수분수가 3기 폭기분수가 6기다. 이는 저수지 내 정체된 물 순환 및 수면 산소 흡수를 통해 악취 녹조 등을 완화하고 분수 조명을 연출해 공원 경관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자료참조: 경기관광포털 등 ※ 촬영: 2023.10.15.
[와이뉴스]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산147-1번지에 위치하며, 2003년 9월 4일 경기도 기념물 제194호로 지정 등록됐다. 중생대 후백악기 화산 폭발 후 생긴 화산 쇄설물인 응회암질 사암이나 이암으로 구성돼 있다. 1999년 대부광산에서 암석을 채취하면서 초식 공룡의 발자국 1족이 발견된 후 공룡발자국과 식물 화석 클라도플레비스 등 총 23개가 발견됐다. 보존상태가 양호한 9개는 안산시에 보관 중이다. 퇴적암층을 구성하는 많은 층리의 색깔과 두께 변화를 고려하면 이 지역이 당시 호수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절개된 퇴적암층은 국내에서 가장 두껍게 절개돼 있고 제주도에서 볼 수 있는 화산암체(큰딱섬 등)와 공룡 발자국 화석 등이 분포하고 있다. 서울 근교에서 유일하게 중생대 지질층과 화산암체를 종합적으로 볼 수 있고 인근 화성시 고정리의 천연기념물 제414호 공룡알 화석산지와 관련돼 있어 당시 식생 및 환경을 판단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지질층이다. -자료참조: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등 ※ 촬영: 2023.10.06.
[와이뉴스] 경기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에 있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다. 통일신라 문무왕 20년(680) 고승 석선(奭善)이 세웠고 고려 초기 혜거국사가 넓혀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불에 타 나중에 화덕(華德)이 다시 지었다. 문화재로 보물 제823호 영산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8호 대웅전, 제109호 마애불이 있다. 튼튼하고 균형 잡힌 모습을 이루고 있으며 조선 초기에서 중기 사이의 건축 양식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2016년 방영한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로도 알려졌다. *자료참조: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등 ※ 촬영: 2023.09.18.
[와이뉴스] 안성시 양성면에 위치한 한국 천주교회 사적지다. 본래 경기도 광주 시흥 용인 양평 화성 안성 일대 등 초기 천주교 선교지역을 이루던 곳의 하나로, 병오박해(1846) 때 순교한 한국 최초 사제 김대건 신부 묘소와 어머니 고 우르술라, 김대건 신부에게 사제 서품을 준 천주교 조선 교구 제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 한국 세 번째 사제이며 미리내성당 초대 주임신부 강도영 마르코, 이민식 빈첸시오를 비롯해 천주교 순교자들이 안치돼 있다고 전한다. 신유박해(1801) 기해박해(1838) 때 천주교 신자들이 신앙을 지키기 위해 미리내 성지로 숨어 들어 옹기를 굽고 화전을 일구며 살았는데 밤이면 집마다 밝혀진 호롱불빛이 은하수처럼 보여 미리내라고 불리게 되었다. 미리내는 순우리말로, 은하수라는 뜻이다. 1976년 수원교구에서 용인 지방에 산재해 있던 무명 순교자들의 유해를 미리내성지로 이장했다. 한국순교자 103위 시성 기념 성전,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기념 성당, 20단의 야외 묵주 기도의 길, 십자가의 길, 성체조배실, 도보순례길 등이 있다. *자료참조: 천주교수원교구 성지소개 등 ※ 촬영: 2023.09.18.
[와이뉴스] 국화도는 조석현상으로 물이 빠지면 남쪽의 도지섬, 북쪽의 매박섬이 육계도*로 연결되는 섬이다. 해안을 따라 분포하는 절벽과 기암괴석은 고생대에 형성된 퇴적암이 지각변동으로 생긴 변성암으로 습곡, 단층, 암맥 등 다양한 지질구조가 나타난다. 해안을 따라 설치된 둘레길과 해안 데크를 따라 지형을 관찰할 수 있고 갯벌체험도 가능한 명소다. 해맞이 전망대, 횡와습곡과 충상단층, 등사습곡과 섬장암, 매박섬 바닷길, 생태숲길 등을 즐길 수 있다. *육계도(陸繫島): 육계사주(陸繫砂洲)로 연결된 섬으로, 육계사주란 육지와 섬, 섬과 다른 섬이나 암초 사이에 모래나 자갈 등이 쌓여 연결된 퇴적 지형을 뜻한다. **자료참조: 화성시 등 ※ 촬영: 2023.08.21.
[와이뉴스] 시흥시 정왕동 오이도에는 신석기시대 조개더미가 섬 전체에 산재해 있고, 통일신라시대 주거지 등 서해안 역사 문화 연구의 자료가 다수 분포해 있다. 1980년대 말 시화지구 이주 단지 조성 과정에서 오이도 신포동·소래벌·가운데살막 조개더미가 사라졌다. 이주 단지 조성으로 조개더미 유적이 전멸할 위기에 처하자 시민 종교 단체와 오이도 주민들이 저지 행동과 서명 운동, 법적 투쟁 등을 2000-2001년 펼쳐 발굴 재조사를 실현시키고 2002년 국가 사적 지정을 이끌어 냈다고. 2002년 4월 1일 국가사적 제441호로 지정된 후 문화재 보존과 활용을 위해 오이도 선사유적공원을 조성하고 2018년 4월 10일 개장했다. 선사유적공원은 다양한 선사문화 생활상을 들여다볼 수 있는 선사체험마을과 야영마을, 고고학 체험을 할 수 있는 발굴터, 패총전시관, 억새길, 전망대 등으로 조성돼 있다. - 자료참조: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시흥시 ※ 촬영: 2023.08.20.
[와이뉴스]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됐다. 조선 고종 연간에 이병원(李秉元)의 부친이 분가할 때 지은 집이다. 종도리를 받치고 있는 장형의 묵서에 ‘광서십사년무자삼월십팔일입주상량(光緖十四年戊子三月十八日立柱上樑)’이라고 적혀 있어 1888년 3월 18일에 상량한 집임을 알 수 있다. 지정 당시 명칭은 파장동이병원가옥(芭長洞李秉元家屋)이었다. 2007년 1월 29일 ‘수원 광주이씨 월곡댁’으로 지정명칭을 변경했다. 현 소유자 이병원의 모친 성주 도 씨가 과거 안산군 월곡면에서 이곳으로 시집와 지은 가옥으로 '월곡댁'으로 불린 것을 반영했다고. -자료 참조: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촬영: 202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