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여기_어때] ㊼안성시_조병화문학관

 

[와이뉴스] 1990년 문화관광부에 의해 난실리마을이 문화마을로 지정되고, 조병화 시인이 대지를 제공해 국고 지원을 받아 1993년 건축했다. 

 


문학관에는 기획전시물과 조병화 시인이 남긴 53권의 창작시집, 수필집, 화집 등 160여 권의 서적, 시인의 유물 등이 있다. 

 


편운 동산에는 문학관과 더불어 넓은 잔디밭을 중심으로 1963년 시인이 어머니 묘소 옆에 세운 묘막인 편운재, 교직 은퇴 후 시인이 집필 또는 휴식을 취하던 시골집인 청와헌, 시인의 묘소가 있다. 편운재 안에는 생전 작업실로 사용했던 혜화동 서재를 원형 그대로 옮겨와 보존하고 있다. 

 


청와헌은 1986년 조병화 시인이 인하대학교 대학원장을 정년퇴임하고 기공해 이듬해 완공해 입주한 시골집이다. 들판가 집으로 ‘개구리 소리를 듣는다’하여 청와헌이라 이름짓고 가끔 집필 또는 휴식을 취하던 곳이다. 서울시 종로구 혜화동에 조병화문학관 서울사무소가 있다.

 


매년 안성시와 조병화문학관 주최로 조병화 문학제가 열린다. 2006부터 편운문학상을 제정 시상하고 있다. ‘편운시 백일장’과 관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꿈나무 시 낭송회’를 개최한다.

 

 


-자료참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문학관협회, 한국관광공사 대한민국 구석구석, 경기문화재단 등 
※ 촬영: 202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