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뉴스] 가끔 소녀상을 보면 궁금해진다.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걸까. 또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며 할 수 있을까. 그저 잊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는 '옅은' 다짐뿐. -2024.11.19. 경기도 오산시청
[와이뉴스] 1991년 남양만 화옹지구 간척 사업으로 화성군 우정면 주곡항, 남양면 장덕항, 서신면 용두항의 대체 어항으로 건립됐다. 2004년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됐고 2008년 국가어항으로 승격됐다. 국가어항 지정 이후 항구 내 토사 퇴적과 접안시설 부족 등으로 어항 이용에 불편을 겪었으나, 2010년 궁평항 기본 계획을 마련하고 2014년 설계를 완료해 359억 원의 예산이 투자돼 2021년 완공했다. 궁평항에서 출항하는 국화도와 입파도를 오가는 여객선을 운영해 여객터미널 기능을 한다. 궁평항을 나서면 궁평해변으로 이어진다. 해변에는 100년 넘게 자란 곰솔들이 숲을 이루고 있으며 초병 순찰로를 따라 가면 다양한 어촌체험이 가능한 백미리 마을로 닿는다. 화성 8경 중 하나인 궁평항은 낙조를 감상할 수 있는 곳으로, 도심과 멀지 않아 궁평해송군락지 및 전곡항 등 인근 관광지와 더불어 사계절 시민들이 찾는 명소로 꼽힌다. -자료 참조: 디지털화성시문화대전, 경기도, 한국관광공사 대한민국구석구석 등 ※ 촬영: 2024.09.09.
[와이뉴스] 한봄의 수선화도 지고, 뒤이어 피어난 노란 꽃망울도 지고, 한여름 정열의 장미도 시들해질 때쯤 첫눈이 내리고도 남은 시점에 피어난 국화, 대표적인 가을꽃. 국화를 소담하다 표현한 이 그 누인가, 이토록 진한 향기와 빛나는 때깔로 벌님들이 찾아든다. 한 시인의 시구처럼 늦게 피어난 꽃에 담긴 사연은 알 수 없어도, 가을 햇살 아래 눈부시도록 화사한 풍취는 제일 가도다.
[와이뉴스] 경기도유형문화유산 제89호로 1979년 9월 3일 지정됐으며 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측되고 있다.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시설물이다.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당이라는 깃발을 걸게 되는데 이 깃발을 꽂는 길다란 장대를 당간이라 한다. 이 당간을 양 쪽에서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고 한다. 드물게 당간이 있으나 대부분 당간지주만 남아있다. 해당 당간지주는 고려시대 대사찰이었던 봉업사지(奉業寺址)의 당간지주다. 죽산리오층석탑(보물 제435호)과 약 30m 거리를 두고 남북으로 마주 보고 있다. 당간지주는 동서로 마주 서 있으며 원래 이곳에 무너져 있던 것을 1980년에 복원했다. 원위치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남쪽 돌기둥은 윗부분의 4분의 1정도가 이미 깨진 상태다. 돌기둥은 표면이 거칠고 아무 장식이 없으며, 꼭대기의 바깥쪽 모서리를 둥글려 완만하게 다듬었다. 정상부 안쪽면에는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네모난 홈을 파놓았다. 전체적으로 소박하고 간결한 형태다. 이 당간지주는 기단부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고려 시대 들어와 세련되고 장식적인 외관보다는 안정적이고 기능에 충실한 당간지주를 건립하는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된다. -자료
[와이뉴스] 계류식 헬륨기구로 최대 150미터 상공에서 수원화성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이색적 관람시설이다. 헬륨기구는 기상조건에 따라 운영되며 최대 30명까지 탑승 가능하고 승객의 안전을 위해 훈련된 파일럿이 동승한다. 계절마다 새로운 매력의 수원화성을 하늘에서 감상하며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다. 주변으로 창룡문, 화성봉돈, 지동벽화마을 등의 관광지가 분포한다. -자료 참조: 수원문화재단, 플라잉수원 등 ※ 촬영: 2024.11.03.
[와이뉴스] 누군가는 사고로 세상을 떠났고, 유족들은 슬픔에 잠겼다. 남아 있는 이들의 도리는 떠난 이들의 고통과 유족들의 아픔에 잠시나마 애도를 표하는 것, 더불어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 앞선 6월 24일 오전 10시 30분경 경기도 화성시 리튬 배터리 제조 판매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약 22시간만에 완진됐다. 이 사고 사상자는 30여 명으로 전해진다. 2024.11.01.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 지하 1층
[와이뉴스] 자연유산 천연기념물 제414호로 2000년 3월 21일 지정됐다. 원시시대 고생물 국가지정유산이며 면적은 육지부 6만1638㎡ 해역부 1583만 8362㎡이다. 1999년 시화층 간석지 육지화에 따른 생태계 및 지질 변화 기초조사 중 화성시 환경지킴이 최종인에 의해 발견됐다. 이어 정갑식·이융남 박사에 의해 연구됐다. 공룡알 화석이나 둥지는 대부분 범람원 퇴적층인 적색 이암층에서 산출되나 하천이 흐르던 곳에서 퇴적된 사암층이나 역암층 내에서도 발견된다. 적색 이암층에 보존된 공룡알은 이동되지 않고 원래 제자리에 있었던 것이며, 사암이나 역암 내의 공룡알은 하천에 의해 떠내려 온 것으로 추정된다. 확인된 공룡알은 12개 구역 37개 지점에서 총 180여 개로 29개의 알둥지가 산출됐다. 가로·세로 50-60㎝ 크기의 둥지 20여 개에서 둥지마다 5-6개, 많게는 12개의 공룡알 화석이 발견됐다. 공룡알 화석은 보통 주먹 크기보다 작은 타원형으로 지름 11-12㎝이고 큰 것은 14㎝이다. 현재 펄로 덮여있는 부분에서도 펄을 제거하면 더 많은 공룡알 화석이 발견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적으로 공룡알 화석이 발견된 곳은 대부분 중국과 몽고 지역이었으나
[와이뉴스] 가을은 소리도 없이 혼자서 영글어 간다. 그러곤 흔적도 없이 겨울로 여물어 간다. 이러한 와중에 그저 사람은 계절을 본다. 가을의 들판은 인간이 그저 자연의 일부임을 실감케 한다.
[와이뉴스] 십 년이 지났다. 그럼에도 여전히 한 쪽은 슬프고 한 쪽은 이해가 덜하다. 갈등은 끝나지 않았다. 2024.10.16. 안산
[와이뉴스] 문득 호기심에 얼마 전 이 위를 걸어 보았다. 재질이 나무인 것 같았는데, 걸으면서 이 나무가 오래돼 부식으로 부러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장애인편의시설및설비의설치기준에관한규칙' 별표2 경사로 항목에서 기울기에 이어 재료 항목에 평탄한 마감, 측벽설치, 충격완화매트 등은 기재돼 있었는데, 그 외는 보이지 않았다. 아마도 걸어다니는 사람이 설계한 규정이기 때문이겠지. 만약 휠체어를 타고 이 위를 오른다면 설사 뒤에서 밀어주는 누군가가 있다손 치더라도 힘든 건 둘째치고, 바닥의 나무 속이 비어있음이 그대로 느껴져 불안할 것 같다. 이왕 공간을 내어 설치하는 김에, 계단과 같은 더욱 튼튼한 재질로 한다면 사용자들이 보다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을 듯하다. *물론, 이 사진의 경사로는 현재 아무 문제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