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듣쓰] [18] 고사성어˚_지록위마(指鹿爲馬)

 

[와이뉴스] 고사성어 '지록위마'는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휘두름, 모순된 것을 끝까지 우겨 남을 속이려 함이라는 뜻이다. 


가리킬 지(指), 사슴 록(鹿), 할 위(爲), 말 마(馬)를 써서, 말 그대로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남을 속이려 옳고 그름을 바꾸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정치적으로는 윗사람을 농락하여 자신이 권력을 휘두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이는 사마천 사기(史記) 진시황본기에 등장하는 사자성어로 진나라 간신 조고가 어린 황제 호해 앞에서 사슴을 가리켜 말(馬)이라고 하고, '말(馬)이 아니라 사슴'이라고 충언하는 신하들을 기억해 나중 몰래 모두 숙청하여 황제보다 자신의 권력이 세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일화에서 비롯된 고사성어라고 한다. 

 

 

 

˚한자성어, 고사성어, 사자성어는 각 한자로 이뤄진 말(한자성어(漢字成語), 옛 일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말(故事成語), 네 글자로 된 말(四字成語)을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