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전화기는 전화기다

 - 편집국장 이영주 

 

[와이뉴스] 부유한 상류층은 반드시 필요에 의해서라기보다, 다른 이들과의 차별성을 드러내기 위해 소비를 한다. 이에 따르면 다른 사람들이 쉽게 구할 수 없는 희소 고가 제품일수록 판매율이 높은 이유가 설명된다. 이러한 현상을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라고 한다.

 

경제학 논리에 따르면 가격이 높을수록 수요량은 감소하는 것이 맞지만, 사회적 지위나 부를 과시하기 위해 소비를 하는 사람들은 가격이 높을수록 구매를 더한다.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사회과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은 이런 역설적 상황을 발견하고 그의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 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자각 없이 행해진다”고 지적했다. 또 베블런 효과는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유독 우리나라에서 두드러진다고.*

 

파노플리 효과(panoplie effect)도 있다. 이는 다소 안타까운 현상인데, 상류층에 속하지 못한 사람들이 상류층의 명품 소비를 따라하면서 자신이 부유한 상류층이 된 듯한 착각에 빠진다고. 파노플리는 프랑스어로 ‘한 세트’ 혹은 ‘집합’이라는 뜻으로, 사람들은 상류층에 한 세트로 속하고 싶은 욕망으로 상류층이 구입하는 비싼 제품을 사게 된다고 한다.*

 

최근 스마트폰 점유율이 공개되면서, 아이폰과 갤럭시의 대결 구도가 형성되고 있는 듯하다. 일단, 해당 자료는, 앞선 9월 소개된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에 따른 것으로, 2022년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 1% 이상 스마트폰 제조사는 15개다. 1위는 삼성, 2위는 애플이다. 또 해당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세계 스마트폰 시장 규모는 11억 9820만대로 삼성전자 2억 5980만대, 애플 2억 2410만대 순이다. 점유율은 삼성전자 21.7%, 애플 18.7%라고. 중국 제조사 점유율은 샤오미 12.7%, 오포 8.6% 순이라고.

 

한국갤럽조사에 의하면, 20대는 아이폰 65%, 나머지 연령대는 갤럭시를 사용한다고 한다. 또 직업상으로 학생은 아이폰, 직장인 등은 갤럭시를 사용한다고 전해진다.

 

여기서 핵심은, 18-29세 연령층에서 갤럭시와 아이폰을 사용하는 이들을 대하는 태도가 사뭇 다르다는 점이 부각됐다는 점이었다. 갤럭시폰을 쓰는 이는 아이폰을 사용하는 사람보다 경제적 여건이 낫지 않다는 판단이 기저에 깔렸다는 것. 실제 일부 청소년들은 “그게 맞다”고 단호하게 답하기도 했다.

 

해당 기기를 제조하는 국가는 논외로 하고, 양 기기의 내구성과 기능 또한 거의 동일하다는 전제 하에, 갤럭시와 아이폰의 가격과 특징적 차이를 살펴보자.

 

아이폰의 경우, 2009년 국내 출시된 첫 모델 ‘아이폰3GS’ 출고가는 81만4천원이었고, 2022년 출시된 ‘아이폰 14’ 일반형 모델은 125만원으로, 13년 만에 50% 이상 가격이 인상된 셈이라고 전하며 아이폰 15의 경우는 147만 2,500원-180만 5천원까지도 볼 수 있다. 삼성의 ‘갤럭시S’ 시리즈의 경우는 2010년 첫 모델이 94만9300원, 2023년 출시된 가장 최근 모델인 ‘갤럭시 S23’ 기본형은 출고가 115만 5천원이 책정됐다고 한다.

 

기능의 경우는, 가장 크게 차이 나는 점이 바로 ‘통화중 녹음’이다. 아이폰의 경우는 녹음이 갤럭시만큼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른 선호도도 달라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언급했듯, 과연 갤럭시를 사용하는 사람보다 아이폰을 유저가 경제적으로 더 윤택한가. 섣불리 속단하기에는 여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해당 사용자가 아이폰을 구매할 충분한 경제적 여건이 됨에도, 먼저, 아이폰보다 갤럭시를 더 선호하는 경우다. 이에는 다수의 사유가 존재하겠지만 갤럭시의 디자인, 익숙함이 주는 편안함, 국산제품에의 신용 등도 꼽을 수 있겠다.

 

또 하나는 어쩔 수 없이 갤럭시를 사용하는 경우다. 이를테면 커플폰이나 가족템 등의 사유로 갤럭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끝으로, 아이폰을 사용하다가 갤럭시를 사용했을 경우, 그의 ‘대외적 경제 여건 평가’가 순식간에 하락하는가이다. 즉, 아이폰을 사용하다가 고장 등 여러 사유로 잠시 갤럭시를 사용하게 되었을 때(혹은 아이폰이 물려 갤럭시로 교체하고자 했을 때) 그의 ‘대외적 경제 여건 평가’의 시점은 아이폰이 그의 손에서 떠났을 때일까, 그가 새로운 갤럭시폰을 집어 들었을 때일까.

 

위에 제시했듯 이 세 경우 모두 사용자가 아이폰을 사용할 충분한 경제적 여력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소비자 행동 연구가인 러셀 벨크(Russell Belk)는 “우리가 갖고 있는 것이 바로 나 자신”이라며 개인이 지닌 모든 것이 자기 정체성을 표현한다고 했다.*

 

제4차 산업혁명을 목전에 둔 현 시점에서, 고작 사용하는 전화기 하나로 그 상대방의 모든 경제적 여건(어쩌면, 나아가 그의 나머지 역량까지도)을 재단하는 것은 무척 협소한 시각이라고 판단된다. 세상은 빠르게 변화하고 아주 많은 사연과 사건, 상황들이 복합적이고 복잡하게 얽혀서 돌아간다. 그러한 세상에서 단 하나의 측면만으로 그 사람의 많은 것을 단정해 버리는 것은 ‘매우 근시안적 행위’가 아닐 수 없다. 차후 이러한 단선적 사고(思考 thought)들이 이 사회에 미칠 파장들을 연상해 보라.

 

학부 시절 동양철학 교수님께서는 “‘나(我)’는 없다”고 했다. 그저 세상의 큰 흐름 속에서 다른 이와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 인생일 뿐이다. 그러니 작금과 같은 미시적 사고를 부디 자신의 무한한 미래와 가능성을 향해 전환하시기를 간곡히 당부드리는 바이다.

 

 

*전국사회교사모음, <생각vs생각>, 도서출판 개마고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