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뉴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14일, 광복 80주년을 맞아 ‘홍릉숲의 환경·역사·문화적 가치와 지역 상생 발전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홍릉숲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한국고지도연구학회 이현군 부회장) ▲홍릉숲의 터 무늬(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조재형 연구관) ▲백년 도시숲, 홍릉숲의 미래 가치와 지역 상생(숲과문화연구회 임주훈 회장) 발표가 진행된다. 이어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김기원 명예교수, 이승로 성북구청장, 김기현 동대문구 부구청장, 김민철 조선일보 논설위원이 토론에 참여해 1922년부터 이어온 홍릉숲의 환경·역사·문화적 가치와 지역 상생 방안을 논의한다.
한편, 서울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홍릉숲은 1950~60년대 한반도 전역에서 수집한 식물을 기반으로 1968년부터 생물계절 모니터링 연구를 시작했으며, 현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총 143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1923년 함경남도 풍산(후치령)에서 수집·식재한 풍산가문비를 비롯해 북한 원산 22종의 식물이 생육하고 있다.
또한 봄의 전령인 복수초가 개화하는 장소로, 홍릉숲은 매년 시민에게 서울의 봄을 알리고 폭염과 열대야에 대응하는 도시숲의 힘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곳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박찬열 센터장은 “홍릉숲은 광복 이전 한반도 전역의 수목을 보전하고 있는 중요한 장소”라며, “기후위기 시대에 홍릉숲의 가치를 재발굴하고 지역사회에 미래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숲 과학 연구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