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뉴스] 8월 5일 개최된 안성시의회 8월 의원간담회에서, 최호섭 안성시의회 운영위원장이 최근 잇따라 발생하는 도로 함몰(씽크홀) 사고와 관련해 강한 우려를 표하며, “시민의 발밑이 무너지고 있는 상황에서, 소극적인 소규모 예산 편성은 보여주기식 행정일 뿐”이라고 지적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 보고된 예산자료에 따르면, 안성시는 2025년도 추경예산에 앞서 총 2억 원 규모의 ‘도로 함몰 예방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 예산’을 성립 전 예산으로 편성할 계획이다.
GPR은 지표 아래 약 2m 깊이까지의 공동 및 지반 침하 가능성을 탐지하는 기술로, 현재 전국 여러 지자체에서 국도비 지원을 받아 성립 전 예산 형태로 탐사용역이 진행될 예정이다.
최호섭 위원장은 “소규모 GPR 예산만으로는 안성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할 수 없다”는 것이다. 최 의원은 “겉은 멀쩡해 보였지만, 속은 이미 무너져 있던 도로. 시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싱크홀 사고가 우리 눈앞에서 반복되고 있다”며 “2억 원 규모의 탐사 예산만으로는 모든 위험을 감지하기 어렵다. 더욱 과감한 예산 투입과 전면적인 전수조사, 다각적인 대응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강하게 요청했다.
최 위원장은 최근 공도읍 아파트 앞 도로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와 앞선 6월 고삼면 쌍지리에서 24톤 탱크로리 차량이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으로 추락한 사고를 언급하며 “이런 사고들은 단순한 불행이 아니라, 예고된 인재(人災)”라고 지적했다. “그 누구도 예외가 될 수 없다. 가까운 사람이 언제든 사고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어 “현재 계상된 2억 원으로 과연 안성시 전역의 도로를 탐사할 수 있는지, 실질적으로 시민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지 냉정히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GPR 탐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특히 공사 현장이나 우기철에는 지하수 유입과 물흐름으로 침하 위험이 더 높아지기에 정밀 보링, 하수관 점검, 지하 공동 탐사 등 다양한 기법을 병행 도입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최 위원장은 서울 서초구 사례를 언급하며 “서초구는 이미 2020년부터 1차 GPR 탐사를 전면 실시했고, 현재 458.5km 전 구간에 대해 2차 정밀 탐사를 추진 중"이라며, “이제 우리 안성시도 땅 위가 아니라 땅 아래를 보는 행정으로 전환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성립 전 예산안은, 안성시가 하반기 중 GPR 탐사를 조속히 착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전 조치로, 시의회 내부에서도 사고 재발 방지와 시민 안전 확보를 위한 선제적 예산 집행의 필요성에 공감이 모아지고 있다.
최호섭 운영위원장은 “도로는 시민의 생명선입니다. 그 아래가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준비 중’이라는 말로는 시민을 지킬 수 없다.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